아침점심약에서 인데놀을 반으로 줄이고 잠자기 직전 약에서도 수면제 용량을 줄였다 졸민정은 빼고 졸피신정만 그대로 복용 약 부작용 때문일까 매일이 고통인데 왜 고통인지 모르겠다 아무 일도 없는데 도저히 나를 진정시킬수 없는 느낌이 자꾸 든다 집에서 혼자 있을때 자꾸 쭈그려앉아 머리를 감싸쥐는 버릇이 생겼다 일주일동안 갑자기 목놓아서 울기도 수차례 가만히 앉아있는데 눈물이 주르륵 생각보다 정신과 약물 부작용은 심하구나 이제 겨우 두달 먹었을 뿐인데 그 약물로 하루하루를 견디고 버텼던것 생각하면 좋지만 끊으려고 하니 이런 단점이 있구나 이래서 중독이 되는구나 나중에 만약에 다음 생이 있다면 약물은 극소량으로 최단기간동안 절대 중독되지 않으리 그리고 아무한테나 내 상황을 알리지 않아야지 당연히 이해해줄거라 믿었..

12월 4일 금요일 예정된대로 방문했고, 진단서 내용도 원하는대로 나왔다 한동안은 코로나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서 회사에서 재택근무를 시행했다. 회사에 안가도 되고 회사 사람들을 안봐도 된다고 하니 한줄기 빛같은 느낌이었다. 아마 팀장도 같은 기분이지 않았을까 ㅎㅎ 그래서 이번에는 갑작스레 울면서 방문하지 않고 예정된 시간에 맞추어 방문했다. 병가휴직을 준비하면서 팀장과 임원에게 몸이 아프다는 사실을 알렸고 휴직을 하고싶다고 했다. 다행히 다들 오케이 하셔서 한달 간 휴직에 들어가기로 했다. 병원에서는 급성 스트레스 반응 이라는 진단을 내주었다. 어떤 상황만 되면 (약이 없는 상태에서) 나는 너무 불안하고 눈물만 나고 심장이 뛰고 어지럽고 화가나고 주체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병원에서는 그게 회사 내에..

11월 23일 여덟번째 방문 원래는 다음주인 30일에 방문 예정이었으나, 갑작스럽게 불안증세가 도져서 도저히 나를 진정시킬 수 없어서 울면서 병원에 전화하고 퇴근하자마자 병원으로 뛰어갔다. 얼마 전 휴직 얘기를 꺼낸 나에게 팀장은 노골적으로 불만과 불쾌함을 표시하고 있다. 내 담당임원 (팀장의 상사)에게 회사 스트레스로 인한것이라고 말했는데 그걸 어디서 주워듣거나 눈치를 챈 것 같다. 내가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서 휴직하려고 한다, 진단서는 떼오겠다 라고 말을 했는데. 끝까지 "병명이 뭔지는 안알려주실거죠?" 라면서 비꼬는 식으로 말하곤 했다. 내가 인수인계 말만 꺼내면 계속 못들은척 하고 다른얘기하면서 자꾸만 새로운 업무를 던져주는데 휴...... 오늘은 아침부터 좀 불안했다. 분명히 아침약 점심약 예비..

11월 16일 월요일 점심시간에 일곱번째 신경정신과 방문 팀내에 새로운 사람이 이날 입사한다고 했다. 회사내에서의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나로서는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아 조금은 기대가 되었다. 어쩌면 휴직을 하지 않고도 내가 조금은 기댈 수 있을 만한 상황이 올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내 상태도 조금은 괜찮아지는것 같아서, 2주간 약을 먹으며 회사 내에서의 상황을 지켜보고 2주 후에 방문하기로 했다. 이날은 정말 상태가 괜찮아서 빠르게 끝났고 약도 평소에 먹던대로 그대로 받아왔다. 약을 2주치 받느라 병원비는 3~4만원 정도로 좀 많이 나왔던것 같다.

항정신성 약물은 여러가지 부작용이 있다. 대표적인게 무력감, 나른함, 졸림이라고 하는데, 그것도 그거지만 일상에서의 감정의 기복이 사라졌다는 단점이 더 크다. 뭘해도 즐겁지 않고 뭘해도 멍한 느낌.. 그리고 요새는 운동이 전혀 즐겁지가 않다. 원래 내 인생의 낙은 일주일에 4번씩 하던 운동이었는데 약을 먹은 이후로는 운동이 갑자기 너무 버거워졌다. 원래 필라테스 수업을 할 때 같은 동작을 10번 반복하면, 7~8번째부터 조금씩 힘들어지는 느낌이 들었다. 자세잡고 운동 할때도 특정 근육에 힘이 들어간다는 것을 느낄 수 있어 집중도 잘 되었다. 운동 끝나면 개운했고 다음날의 옅은 근육통도 좋았다. 그러나 약을 먹은 이후로는 특정 근육에만 힘을 주기기 어려워졌다. 대충 비유하자면 전날 잠 못잔 느낌, 술을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