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이트와 융의 견해차이
* 프로이트
리비도를 인간의 생물학적 성에너지로 제한함.
성격은 주로 과거의 사건이나 과정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성장 이후에는 바뀌지 않는다고 진술.
인간의 정신을 자각 수준에 초점을 맞추어 의식과 무의식으로 구분
* 융
리비도는 성에너지 + 다른 삶의 에너지 (일반적인 생활에너지)
성격은 과거사건들 + 미래에 무엇을 하기를 열망하는가에 의해 결정 --> 후천적으로 변화가능
집단무의식 개념 도입 --> 인류의 정신문화 발달에 초점
◆ 융의 생애
분석심리학의 창시자
프로이트의 이론을 따라가다가 추후 결별
<심리적 유형> 에서 내향성, 외향성, 사고, 감정, 감각, 직관 등 개념 도입
성격 특징의 일반화에 기여함
인류 역사를 통해 발달해온 정신 + 개인이 속한 문화적 영향을 바탕으로 형성된 타고난 정신적 소인 (집단무의식) 강조
◆ 융 분석심리학의 주요 개념
[ 정신의 구조 ]
인간의 전체적인 성격은 정신에서 나온다
전체적 성격을 갖고 태어남 & 일생동안 타고난 정체성을 분화/통합함
정신 = 의식 + 무의식 (개인무의식 + 집단무의식)
1. 의식
의식은 자아(ego)에 의해 지배됨
의식의 주인은 자아
자아를 통해 자신을 외부에 표현 & 외부 현실을 인식
** 의식의 태도 : 자아가 갖는 정신적 에너지의 방향 (외향성/내향성)
--> 누구나 두가지 성격 태도를 갖고 있으며, 그중 지배적인 태도가 있음
** 의식의 기능 : 주관적 세계와 외부 세계를 지각/이해하는 방식 (사고/감정, 감각/직관)
--> 어느것을 먼저 우석 사용하는지에 따라 기본 성격 달라짐
--> 사고/감정은 합리적 차원, 감각/직관은 비합리적 차원
심리적 태도&기능 조합하여 8가지 심리유형 제안 ==> 훗날 MBTI에 영향
2. 개인무의식
의식되었던 것이지만, 내용이 중요하지 않거나 고통스러워 망각된 것
너무 약해서 의식에 도달할 수 없는 경험
쉽게 의식화 가능, 망각된 경험 등으로 구성
개인의 과거경험에서 비롯됨
프로이트의 전의식과 무의식을 포함한 개념
3. 집단무의식
융이 제안한 독창적 개념 / 분석심리학의 핵심
집단무의식이란? 인간의 정신적 소인이 유전된 것
보편인류의 역사/문화를 통해 공유해 온 정신적 자료의 저장소
많은 원형(archetype)으로 구성
직접 의식화되진 X
신화, 민속, 예술 등을 통해 간접관찰만 가능
[ 정신에너지의 원리 ]
전체적성격 >> 정신 >> 정신에너지 >> 리비도
인간은 리비도를 통해 지각하고 생각하며 심리적 활동을 수행
리비도 = 인생과정에너지 = 정신에너지
리비도가 기능하는 세 가지 원리 : 대립, 등가, 균형
1. 대립원리
신체에너지 내에서 반대되는 힘이 대립/양극성으로 존재하여 갈등을 야기
이런 갈등이 정신에너지를 생성함
정신에너지란? 성격 내 힘들 간의 갈등의 결과
갈등X 이면 에너지X
대립과 양극성은 무든 행동의 일차 동인 (에너지를 움직이는 일차적 연료 역할)
갈등 커질수록 더 많은 에너지 생성
2. 등가원리
에너지는 상실되지 않고 성격의 다른 부분으로 전환됨
성격 내에서 에너지의 재분배가 이루어짐
어떤 영역에서의 정신 가치가 약해지면, 그 에너지는 다른 영역으로 전환
ex. 당구에 대한 관심이 골프로 전황
깨어있는 동안 의식활동의 에너지는 잠자는 동안 꿈으로 전환
3. 균형원리
에너지 차이의 평형을 맞추려는 습관 / 뜨거움과 차가움의 평형
에너지는 강한 욕망에서 약한 욕망으로 흐르게 됨
완벽한 평형은 없기 때문에 이상적 상태는 결코 성취되지 않음 (대립원리가 갈등을 요구하기 때문)
[ 원형 ]
인류역사를 통해 물려받은 정신적 소인으로 집단무의식을 구성함
형태(form)를 가진 이미지. 느낌. 분위기 / 내용(content)은 아님
꿈, 신화, 동화, 예술 등에서 나타나는 상징을 통해 표현
삶을 영위하면서 형성해 온 원초적 이미지
ex. 원형이란? '뱀'에서 느껴지는 섬뜩함 같은 것. 그동안 많은 신화, 예술 등을 통해 습득한 뱀에 대한 이미지
융의 대표적인 원형: 페르소나, 아니마와 아니무스, 그림자, 자기(self)
1. 페르소나
내가 보여주고 싶은 나, 공적 얼굴
환경의 요구에 조화를 이루려고 하는 "적응"의 원형
사회에서 가정하는 자신의 역할
페르소나를 통해 타인과의 관계에서 좋은 인상을 주거나 자신을 은폐
페르소나와 내면의 자기가 지나치게 불일치 --> 이중적 성격, 사회적 적응에 곤란 경험
2. 아니마와 아니무스
인간의 양성성
아니마: 남성의 내부에 있는 여성성 / 아니무스: 여성의 내부에 있는 남성성
남성성이란? 이성 (logos) / 도전, 돌파, 열정적....
여성성이란? 사랑 (eros) / 돌봄, 애정, 관심
모든 인간은 양성성을 가짐. 이성과 사랑을 겸비함
성숙한 인상은 이 둘을 이해하고 모두 개발함
3. 그림자
내가 드러내고 싶지 않은 것들
인간의 어둡거나 사악한 측면, 무의식에 존재한, 인간의 원초적 동물적 욕망에 기여
의외로 생명력, 자발성, 창조성의 원천이 되기도 함
인간의 양면성을 나타냄. 긍정/부정, 빛/그림자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가장 장애가 됨 --> 내담자의 그림자를 확인해야 함
이런 부정적 측면을 내담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 게 필요함
4. 자기 (self)
모든 의식과 무의식의 주인 / 타고난 잠재력
전체이자 토탈, 인간 성격의 조화/통합을 위해 노력하는 원형
의식과 무의식이라는 양극성 사이의 평형점
정신 체계가 충분히 성숙, 발달된 이후에 등장함
인생의 가장 결정적인 변화의 시기인 중년기에 나타남
자신에 대한 정확한 지각과 미래의 계획&목표를 수반함
건강한 성격이란? 나의 self대로 사는 것
**성격발달**
성격발달이란? Self 자기를 실현하는 과정
인생 전반기: Self의 방향이 외부로 지향, 분화된 ego를 통해 현실 속에서 나를 찾으러 노력함. 환경과 활발한 상호작용
40세인 중년기를 전환점으로 후반기로 접어듦
인생 추반기: Self의 방향이 내부로 지향, ego가 다시 self에 통합됨
"개성화"란 분화와 통합을 통해 self가 발달하는 과정
◆ 성격 평가기법
[ 단어연상검사 ]
어떤 단어를 보고 즉각적으로 떠오르는 단어로 반응하는 투사기법
환자들의 콤플렉스를 밝히는 데 사용 / 생리적 반응 측정
실험적, 임상적 도구로 심리학 연구에 적용됨
[ 꿈 분석 ]
환자의 무의식을 이해하는 데 사용
꿈은 미래를 예견함 (동시성)
--> 두 사건이 동시/근접한 시간에 독립적으로 일어나지만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의미를 가지는 현상
어떤 정신구조가 지나치게 발달하는 것을 보상함으로써, 상반되는 정신과 균형을 유지하도록 도움 (보상적)
일련의 꿈들을 함께 분석 --> 반복되는 주제 발경
확충법? 환자와 분석자가 상징들의 이해를 확장하고자 시도하는 방법
[ MBTI ]
융의 심리유형론을 근거로 브릭스&마이어가 고안한 자기 보고식 성격유형 지표
지각기능(감각/직관), 판단기능(사고/감정), 태도(외향성/내향성), 판단/지각 --> 총 16가지
외향성/내향성: 어떤 대상이 있을 때 자아가 주체적으로 반응하는가 / 외부자극이 왔을 때에만 반응하는가
사고/감정: 자아와 관련된 정신적 기능에서 합리적 차원
직관/감각: 자아와 관련된 정신적 기능에서 비합리적 차원
지각/판단: 직관/감각을 통한 지각 & 사고/감정을 통한 판단
[ 증상분석 ]
환자의 증상에 초점
프로이트의 자유연상과 유사
증상 원인에 대한 해석을 통해 증상을 감소시킴
융은 이 기법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함
[ 사례사 ]
심리적 장애의 발달사를 추적하는 데 사용
인간의 전 생애사를 재구성함으로써 현재의 신경증을 설명하는 발달패턴 확인
◆ 성격이론의 적용
[ 신경증 ]
자기실현을 향한 개인의 성장이 멈춘 심각한 질환
중년 문제를 주로 다룸
융 심리학 = 생애후반기 심리학
[ 심리치료 ]
내담자가 자신 내면의 삶을 탐색함으로써 성격확장 가능
자신의 존재에 대한 영적태도 개발과정 (4단계, 고백 - 명료화 - 교육 - 변형)
- 고백: 제한점을 타인과 나눔. 인류와의 유대감. 전이
- 명료화: 전이를 이해하는 과정. 문제의 기원 파악
- 교육: 자신 성격에 대한 통찰
- 변형: 자기실현을 위한 변화 도모
'심리학 > 성격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심리학] 5주차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이론, 설리반의 대인관계이론 (4) | 2024.11.04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