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목차

1. 아이젱크 생애 및 역사적 배경
 - 아이젱크 생애
 - 역사적 배경

2. 아이젱크의 생물학적 유형론
 - 성격모델
 - 성격의 위계모델
 - 성격의 세 가지 유형
 - 성격발달
 - 성격이론의 적용

3. 성격 5요인 모델
 - 연구

 

아이젱크의 생애 및 역사적 배경 

아이젱크 생애

  • 정신역동적, 인본주의적, 실존주의적, 현상학적 관점이 엄격하게 검증될수 없다며 비판함
  • 성격에 대한 기술적 접근 X
  • 실험을 통해 검증가능한 가설을 제시함
  • 생물학적 유형론을 통해 인간의 생리적 특성을 요인분석
  • "유전은 성격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다"
  • 독일 베를린 태생으로, 히틀러 집권 이후 영국으로 이주
  • 40여년동안 75권이 넘는 저서, 700편이 넘는 논문 발표

 

역사적 배경 

  • 성향적 관점에서 성격을 보는 이론이 많았음 (히포크라테스, 갈렌, 칸트)
    • 히포크라테스: 우울기질(우울한), 담즙질(화내는), 점액질(냉담한), 다혈질(쾌활한)
    • 칸트의 인류학은 히포크라테스 이론을 감정 & 활동성으로 재분류하였음
      • 감정 - 우울한 사람은 약한 감정 / 다혈질은 강한 감정
      • 활동성 - 점액질은 약한 활동성 / 담즙질은 강한 활동성
  •  분트: 변화성과 정서성. 성격 연구를 범주적 차원에서 연속 차원으로 관심 전환함
  • 융: 외향/내향 개념을 보편화 시킴
  • 크래츠머: 신체 유형에 따라 인간의 성격을 설명
  • 셀돈: 신체형과 기질에 근거하여 분류
  • 유형론이란? 한 개인의 특성을 구분되고 분리된 범주로 분류하는 것 ex. A형, B형
  • 현대에는 특질이란 '연속되는 차원에서의 정도의 차이'라고 봄

 

 

아이젱크의 생물학적 유형론 

성격모델 

  • 인간은 생물사회적 동물임
  • 심리학은 생물학적 접근과 인문사회과학적 접근의 중간에 위치함
  • 과학적 성격모델: 요인분석, 연역법에 따른 실험적 검증의 인과를 분석함 (가설을 먼저 세우고, 실험을 통해 가설을 검증)
  • 아이젱크의 방법
    • 다양한 성격특질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세움
    • 요인분석을 실시. '초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는 일련의 특질군 확인
    • '초요인'과 관련되는 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생물학적 이론을 구성함
    • 검증가능한 심리생리학적, 신경학적, 호르몬 구성요소들에 관한 이론으로부터 가설을 도출
    • 이론적으로 예측한 것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연구 실시
    • 실험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수정되어야 할 부분을 수정함

 

성격의 위계모델 

  • 성격을 하나의 위계로 설명함

 

  • 보편적 차원 (기본적 유형)
  • 보편적 특질 (습관적 행동과 관련된 특질)
  • 습관적 행동
  • 특정반응 (관찰가능한 행동)

 

성격의 세 가지 유형 

  • 내향성/외향성, 안정성/신경증, 충동통제/정신증
    • 외향적: 사교성 풍부, 흥분과 위험을 즐기고 충동적
    • 내향적: 조용함, 미리 계획 후 행동, 낮은 충동, 진지, 질서정연
    • 정서적 안정성: 조용, 안정, 태평, 침착, 신뢰
    • 신경증 차원: 변덕, 까다로움, 불안
  • 위 세가지 기본 유형을 바탕으로 한 성격지필검사 실시 (EPQ)

 

성격발달

  • 성격은 대부분 유전에 의해 결정된다 --> 5요인모델에서도 강조함
  • 학습이론을 강조함 - 내향인이 외향인보다 조건 형성이 잘 된다
  • 사람들이 다른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유전의 각성 수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 성격의 주요 차원들은 생물화학적 기원에 바탕을 둔다

 

성격이론의 적용

  • 성격에서 어떤 증상이나 심리장애가 나타난다면 --> 신경계 기능의 원리와 기초적 성격 특질과 관계있음
  • 생물학적 시스템 + 불안유발자극에 대한 강한 정서적 반응의 학습 ==> 신경증이 악화됨
    • 신경증 환자 특성: 신경성 高, 외향성 低
    • 범죄자, 반사회적사람 특성: 신경증 高, 외향성 高, 정신증 高
  • 정신장애
    • 정신장애 발달, 정신장애가 지속됨 --> 모두 유전적 요인이 중요함. But 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
    • 행동치료를 강조함. "학습이론에 따라 체계적으로 치료 가능함"
      • 잠재적으로 1)정신적 외상을 줄만한 사건을 피하거나, 2)학습된 공포 반응을 다시 탈학습화 를 거치면 사회적 규준을 습득하는 것이 가능함
    • 정신분석이론과 치료기법 비판함

 

성격5요인 모델 

  • 문화적으로 보편적인 특질군 개발을 위해 노력함

 

  • Big Five
    • Big - 각 요인이 수많은 특질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함
  • OCEAN
    • 신경증(N) - 불안, 자의식적, 우울, 상처를 잘 받음, 충동성, 공격성
      • 신경증 高 - 걱정, 초조, 감정변덕, 불안정, 부적절한 감정, 심기증
      • 신경증 低 - 침착, 이완, 안정, 강건함, 자족감
    • 외향성(E) - 사교성, 활동수준, 주장성, 흥분추구, 긍정적 정서, 따뜻함
      • 외향성 高 - 사교적, 적극적, 말하기좋아함, 사람중심, 낙관적, 즐거움추구, 상냥함
      • 외향성 低 - 말수적음, 냉정함, 과업중심, 조용, 활기없음
    • 개방성(O) - 공상, 미를 추구, 감정, 아이디어, 행위, 가치
      • 개방성 高 - 호기심, 흥미영역이 광범위함, 창의적, 독창적, 상상력 풍부, 관습에 얽매이지 않음
      • 개방성 低 - 관습적, 흥미영역이 제한적, 예술적이지 않음, 분석적이지 않음
    • 우호성(A) - 솔직성, 신뢰성, 이타성, 겸손, 마음이 여림, 순응성
      • 우호성 高 - 마음여림, 성격좋음, 신뢰할수 있음, 도움을 잘 줌, 관대함, 잘 속음, 솔직함
      • 우호성 低 - 냉소적, 무례함, 의심많음, 비협조적, 앙심품음, 무모함, 초조함, 조종적
    • 성실성(C) - 자제심, 의무감, 유능감, 질서, 신중함, 성취노력
      • 성실성 高 - 체계적, 믿음직함, 근면, 시간잘지킴, 정돈된, 야망이 큼
      • 성실성 低 - 목적없음, 믿을수없음, 게으름, 부주의함, 의지가 약함, 쾌락에 탐닉함

 

  • 5요인과 각각의 하위요인
    • 외향성: 사교성, 활동수준, 주장성, 흥분추구, 긍정적 정서, 따뜻함
    • 우호성: 솔직성, 신뢰성, 이타성, 겸손, 마음여림, 순응성
    • 성실성: 자제심, 의무감, 유능감, 질서, 신중함, 성취노력
    • 신경증: 불안, 자의식적임, 우울, 상처잘받음, 충동성, 공격성
    • 개방성: 공상, 미를 추구함, 감정, 아이디어, 행위, 가치

 

728x90
반응형